사이버 관련된 고소(통매음, 모욕, 저작권 등) 관련 글을 보면, 맥어드레스로 사용자를 특정할 수 있다고 보는 글들이 종종 보입니다.
전공자로서 말씀드리면, 이것은 잘못된 사실입니다.
사용자의 맥 어드레스는 서버로 전송되지 않습니다.
기술적으로 불가능 합니다.
IP주소와 맥어드레스는 역할부터가 다릅니다.
IP주소는 인터넷 또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환경에서 장치를 식별하기 위함이고
맥어드레스는 같은 네트워크 환경에서 장치를 식별하기 위함 입니다.
우리가 인터넷을 하면 여러 네트워크 장치(랜카드, 공유기, 모뎀, 스위치, 라우터 등) 거쳐서 통신이 이루어 집니다.
그래서 웹서버 입장에서는 실제 사용자의 맥어드레스가 아닌, 라우터나 중간 네트워크 장치의 맥주소가 수집됩니다.
이론은 그렇고 실제로도 그런지 와이어샤크로 패킷을 확인해 보았습니다.
아래는 제가 직접 운영하는 웹서버입니다.
사용자A (43.155.153.13)의 맥어드레스는 00:07:70:fe:9a:84 입니다.
사용자B (220.82.238.115)의 맥어드레스는 똑같이 00:07:70:fe:9a:84 입니다.
사용자는 다른데 맥어드레스는 똑같죠?
웹서버 입장에서는 CMB 인터넷 모뎀(Ubiquoss)의 맥어드레스가 잡히는군요.
웹서버 --- 인터넷 모뎀 --- 통신사 ----------- (인터넷) ----------- 사용자
이런 구조라서 그렇습니다.
일반적으로 설명하면
- 구글에서는 사용자 PC의 랜카드 맥주소 알 수 없음
- 구글에서는 사용자의 인터넷 모뎀 맥주소 알 수 없음
- 통신사에서는 사용자 PC의 랜카드 맥주소 알 수 있음 (이건 DHCP 프로토콜에서 파라미터로 맥주소 넘겨서 가능함)
- 통신사에서는 사용자의 인터넷 모뎀 맥주소 알 수 있음단, 브라우저가 아닌 스마트폰 앱(네이버 앱, 유튜브 앱)에서는 사용자 스마트폰 맥주소 수집하는 것 가능함
(안드로이드 10 (API 29) 이상 : 앱이 로컬 MAC 주소를 직접 조회 허용하지 않음)
그러므로 맥어드레스로 사용자 특정, 사용자 차단, 아니면 서버에서 맥어드레스 수집을 한다라는 말들은 잘못된 사실입니다.
'컴퓨터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블루스크린 ntoskrnl.exe 해결방법 (0) | 2024.05.25 |
---|---|
무료채팅사이트 - 이오이카 (0) | 2023.12.24 |
무료 단축URL 모음 (0) | 2023.12.22 |
디오톡 - 동네친구, 무료채팅앱 (0) | 2023.11.21 |
맥 사용자가 말하지 않은 맥OS의 단점, 문제점, 버그 (0) | 2023.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