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인터넷 공인IP 개수에 대해서
KT 인터넷 베이직(500메가)로 변경하면서 공인IP 개수에 대해서 알아본 내용입니다.
일반적으로 신경 쓸 일 아닌데, 집에서 코인 채굴하면 공인IP 개수가 중요해서요.
약관
제 8조 ( IP의 부여 )
③ KT internet 이용고객에게는 기본 1개의 유동 IP를 부여합니다. 추가로 부여할 수 있는
유동 IP 수는 최대 3 개까지 가능하며 제공기술방식에 따라 제한될 수 있습니다.
약관상으로는 4개까지 제공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설치기사 답변
보통 5~6개까지 되고, 그 이상 넘어가면 차단될 수 있다고 합니다.
실제 해보니
8개까지 가능했고, 9개부터 DHCP IP 할당 되지 않았습니다.
잘못된 정보들
- 100메가면 공인IP 적게 주고, 1기가면 공인IP 더준다?
잘못된 정보입니다.
100메가나 1기가나 약관상으로 똑같고, 공인IP 개수도 똑같은 것으로 파악 됩니다.
- IP TV나 인터넷 전화같이 신청하면 공인IP 더 준다?
잘못된 정보입니다.
다른 상품 신청해도 약관상으로 똑같고, 공인IP 개수도 똑같은 것으로 파악됩니다.
그외 설치기사가 했던 말들
KT 정책이 모뎀 4개 포트가 있는데 3개까지만 사용 가능하고, 4개 다 꼽으면 차단됩니다.
차단 안 되게 설정해 드릴께요.
허브 개수, 컴퓨터 대수 같은 것 파악해가더라고요.
개인적으로 이해 가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4개포트로 공인IP 4개 사용하는 것은 차단하고, 1개 포트에 허브 연결해서 공인IP 8개 사용하는 것은 된다는 소리인데 뭔가 이상합니다.
그리고 KT 쪽에서는 사용자의 허브 개수나 모뎀에 몇 개 꼽고 사용하는지 기술적으로 알 수가 없을 텐데 이상하네요.
KT인터넷 공인IP는 최소 4개, 최대 8개 같고, 지역마다 다를 수 있으니 참고만 하세요.